2년 반 만에 마침표 찍는 청년도약계좌, 이제는 청년미래적금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학비, 생활비, 취업 준비 등 다양한 이유로 저축할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2023년에 내놓은 청년도약계좌는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돈을 보태주고, 이자 혜택까지 주는 상품이었죠. 그 결과 2년 만에 220만 명이 넘는 청년이 가입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상품은 2024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신규 가입이 종료됩니다. 대신 새로운 상품인 청년미래적금이 그 자리를 이어받을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특징과 종료 이유, 그리고 새로 나올 청년미래적금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들이 5년 동안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한 적금 상품입니다.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고,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추가로 기여금을 넣어줍니다. 여기에 은행 이자와 비과세 혜택까지 합치면, 금리가 최대 9.54%에 달했죠. 5년을 꾸준히 유지하면 최대 5,000만 원까지 모을 수 있었기 때문에 ‘청년들의 꿈의 통장’이라고 불렸습니다.
특히 매달 일정 금액을 넣으면, 정부가 조건에 따라 수십만 원씩 보태주기 때문에 같은 기간 일반 적금보다 훨씬 빨리 돈을 모을 수 있었고, 이 때문에 청년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빠르게 퍼졌습니다.
2. 왜 종료되나?
인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말까지만 운영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정부 예산 문제입니다. 정부가 매달 많은 금액을 지원해야 하는 구조라 장기적으로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재명 정부가 새로운 청년 지원 정책을 준비하면서, 기존 상품을 정리하고 새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3. 청년미래적금의 등장
청년도약계좌의 빈자리를 채울 상품이 바로 청년미래적금입니다. 이 상품은 기존 제도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운영 기간과 방식이 조금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 가입 대상: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
- 운영 기간: 기존 5년에서 2년 중심의 단기 집중 저축 방식
- 지원 금액: 2년 동안 300만 원을 저축하면, 기업이 300만 원, 정부가 600만 원을 더해 총 1,200만 원 마련 가능
- 발표 시기: 다음 달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서 구체적 조건 공개 예정
4. 청년내일채움공제와의 관계
청년미래적금은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운영됐던 청년내일채움공제와 구조가 비슷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 다니는 청년이 2년간 300만 원을 저축하면, 기업과 정부가 각각 300만 원, 600만 원을 지원해 총 1,200만 원을 만들 수 있는 제도였죠. 이번 청년미래적금도 비슷한 형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기존 가입자는 어떻게 되나?
청년도약계좌에 이미 가입한 사람들은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새로 나올 청년미래적금과 중복 가입은 제한될 가능성이 큽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능했지만, 기존 상품 만기 후에는 갈아타기가 허용됐습니다.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6. 어떤 점이 유리할까?
청년도약계좌는 장기간 꾸준히 모아 큰 금액을 만드는 데 유리했고, 청년미래적금은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목돈을 만드는 데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상황과 저축 가능 금액, 계획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많은 청년에게 큰 도움을 준 금융상품이었지만, 2024년 말 종료와 함께 그 자리를 청년미래적금이 이어받게 됩니다. 새로운 제도 역시 정부 지원과 기업 매칭을 통해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조건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다음 달 공개될 세부 내용에 따라 갈아타기 여부나 중복 가입 가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목돈 마련을 계획하는 청년이라면 정책 발표를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미래적금이 청년도약계좌의 빈자리를 제대로 채워, 더 많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금융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가입은 이렇게! 은행 앱에서 비대면으로 쉽고 빠르게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각 은행의 공식 앱 다운로드 페이지 또는 안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KB스타뱅킹 앱을 통해 가입 절차, 가입 요건 확인이 가능합니다.
※ 가입 자격 확인은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나이·소득·가구요건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은행에서도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취급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KB국민은행
-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 각 은행의 앱(App)에서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 절차 요약:
① 은행 앱에서 가입 자격 확인 신청 → ②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조건 확인 → ③ 가입 대상자임을 안내받은 후 계좌 개설 → ④ 비대면 가입 완료
※ 가입 주기나 은행별 절차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앱 내 안내를 잘 따라 주세요.